2025-2026절기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국민 건강을 위한 중요한 방어 수단입니다. 특히 어린이, 노인, 임신부, 면역저하자 등은 중증 합병증 위험이 높으므로 접종이 강하게 권고됩니다. 아래는 질병관리청 및 학회 권고를 바탕으로 정리한 2025~2026절기 독감 접종 지침입니다.
✅ 신청 방법
① **온라인/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사전 예약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접종 가능 위탁의료기관을 검색하고 예약 절차를 확인하세요.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참고) (nip.kdca.go.kr)
② **현장 접종(위탁의료기관 또는 보건소 방문)** 접종 가능 여부를 미리 전화로 확인한 후 방문하세요. 주소지 제한 없이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접종 받을 수 있습니다. (nip.kdca.go.kr)
③ **서류 준비 및 주의사항** 접종 시 신분증, 임신부는 산모수첩 또는 임신확인서, 장애인/수급자/국가유공자 등은 해당 증명서 등을 지참하세요. (yeonsu.go.kr)
✅ 대상 조건
2025-2026절기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자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본인 부담금 없이 무료 접종)
대상자가 아닌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접종 비용은 의료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문의가 필요합니다.
구분 | 대상자 기준 | 접종 기간 | 비고 |
---|---|---|---|
어린이 | 생후 6개월~13세 (2012.1.1.~2025.8.31. 출생자) | 2회: 2025.9.22.~2026.4.30. 1회: 2025.9.29.~2026.4.30. |
이전 접종 경험 유무에 따라 회차 결정 |
임신부 | 임신 확인 가능한 모든 임신부 | 2025.9.29.~2026.4.30. | 산모수첩 또는 임신확인서 지참 |
어르신 | 만 65세 이상 (1960.12.31. 이전 출생자) | 75세 이상: 2025.10.15.~2026.4.30. 70~74세: 2025.10.20.~2026.4.30. 65~69세: 2025.10.22.~2026.4.30. |
연령대별 순차 접종 |
면역저하자 및 고위험군 | 장기이식자, 만성질환자, 감염취약시설 입소자 등 | 의료진 권고에 따라 개별 조정 | 별도 유료 또는 기관 지원 가능 |
일반 성인 | 비대상자 (만 14~64세 일반인) | 의료기관 자율 접종 | 유료 접종 (기관별 상이) |
✅ 유효기간
2025-2026절기 무료 독감 예방접종 기간 및 권장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상자 구분 | 접종 가능 기간 | 비고 |
---|---|---|
어린이 (2회 접종 대상자) | 2025.9.22.~2026.4.30. | 이전 접종력이 없는 경우 2회 접종 필요 |
어린이 (1회 접종 대상자) | 2025.9.29.~2026.4.30. | 이전 절기 접종 완료자 |
임신부 | 2025.9.29.~2026.4.30. | 주수 무관, 임신 확인서 지참 |
어르신 75세 이상 | 2025.10.15.~2026.4.30. | 가장 먼저 접종 시작 |
어르신 70~74세 | 2025.10.20.~2026.4.30. | 연령별 순차 접종 |
어르신 65~69세 | 2025.10.22.~2026.4.30. | 가장 마지막 그룹 |
예방접종 효과는 접종 후 약 2주 뒤부터 발현되며, 독감 유행 시작 전 10월~11월 내 접종을 권장합니다. 접종 기간 이후에는 국가무료사업이 종료되므로 의료기관에서 유료 접종해야 합니다.
✅ 확인 방법
① **접종 여부 확인**은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나 앱에 접속해 본인 접종 기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②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 문의하여 본인 접종 기록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③ **예방접종 증명서** 또는 접종 스티커(기록지)를 보관해 두시면 필요 시 증빙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접종 결과에 대한 알림 또는 확인서를 요청할 수 있으니 필요한 경우 의료기관에 문의하세요.
✅ Q&A
Q1. 왜 매년 접종해야 하나요?
A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매년 유전자가 변하기 때문에 이전 접종이 보호를 완전히 보장하지 못합니다. 또한 면역은 시간이 흐르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매년 접종**이 권고됩니다.
Q2. 접종 시 부작용이 있을까요?
A2. 일반적으로 접종 부위 통증, 발적, 근육통, 미열 등 경미한 증상이 흔하며 수일 내 소실됩니다. 중대한 이상 반응은 매우 드물지만 열감,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에 상담해야 합니다.
Q3. 면역저하자나 장기 이식 환자는 어떤 백신을 맞는 게 좋을까요?
A3. 면역저하자, 특히 장기 이식 환자는 **고면역성 백신**(예: 고용량 불활성화 백신, MF59 보강 백신 등)이 고려될 수 있고, 일반 생백신(비활성화 백신) 또는 비활성화 접종은 권장됩니다. 단, 개인 상태에 따라 의료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icjournal.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