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1

일류의 조건-사이토 다카시(동경, 숙달, 몰입) 사이토 다카시의 은  ‘일류’가 되기 위한 내면의 태도, 꾸준한 실천, 그리고 몰입의 중요성을 설득력 있게 전합니다. 특히 동경, 숙달, 몰입이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는 현대인의 자기 계발에 키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1. 동경: 시작은 마음 끌림에서 온다.에서 사이토 다카시는 일류가 되는 출발점으로 ‘동경’을 강조합니다. 그는 “진짜로 되고 싶은 무언가가 없다면, 사람은 금방 지치고 만다”라고 말합니다. 동경은 단순한 선망이나 부러움이 아니라, 내면 깊숙한 곳에서 우러나오는 ‘사람’ 혹은 ‘분야’에 대한 열렬한 감정입니다. 어릴 적 TV에서 본 축구선수, 혹은 한 편의 영화에서 받은 감동처럼, 우리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감정이 바로 이 동경입니다. 특히 사이토 다카시는 “인생의 중요한 선택 앞.. 2025. 4. 12.
삶이 흔들릴 때 뇌과학을 읽습니다-이케가야 유지 (심리, 뇌과학, 회복, 뇌가소성) 마음이 흔들리고, 감정이 지쳐버린 순간엔 무엇이 위로가 될 수 있을까요? 일본의 뇌과학자 ‘이케가야 유지’는 뇌과학의 언어로 우리의 감정과 삶의 균형을 풀어냅니다. 그의 저서 는 단순한 힐링 에세이를 넘어,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감정의 흐름을 이해하고, 자신을 회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단서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책을 바탕으로 현대인의 감정회복과 뇌과학적 위로의 메시지를 함께 풀어보려 합니다.이케가야 유지의 위로 방식이케가야 유지가 전하는 위로는 단순히 “힘내세요”라는 말에 머물지 않습니다. 그는 감정이 만들어지는 뇌의 구조와 신경회로에 집중합니다. 우리가 분노하거나 슬퍼지는 이유, 반복되는 불안감의 근원을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기 때문에 독자는 단순한 공감 이상의 통찰을 얻게 됩니다. 예를 들.. 2025. 4. 12.
넛지-리처드 탈러, 캐스 선스타인(개념, 효과, 행동경제학, 넛지심리학) ‘넛지(nudge)’는 누군가의 등을 살짝 밀어주는 작은 동작을 의미합니다. 경제학자 리처드 탈러(Richard Thaler)와 법학자 캐스 선스타인(Cass Sunstein)은 2008년 출간한 에서 이 개념을 사회 전반에 알렸습니다.넛지는 선택을 강제하거나 자유를 제한하지 않고 사람들이 더 나은 결정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행동 설계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구내식당에서 건강한 음식인 샐러드를 눈에 띄는 자리에 배치하면,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샐러드를 고를 확률이 높아집니다. 강요가 아닌, 선택 구조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만으로 행동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1. 넛지 개념  탈러와 선스타인은 넛지를 “자유주의적 개입주의(libertarian paternalism)”라고 정의합니다. 겉으로 보기엔 모.. 2025. 4. 11.
생각에 관한 생각-대니얼 카너먼(저자, 행동경제학, 인지 편향) 우리는 매일같이 수많은 선택과 판단을 하며 살아갑니다. ‘이게 옳을까?’, ‘저게 더 나을까?’처럼 순간적인 직관에 기대거나, 심사숙고 끝에 결정을 내리곤 하죠. 그런데 이런 사고 과정이 과연 늘 ‘이성적’이고 ‘논리적’일까요? 저자 대니얼 카너먼의 은 이 질문에 정면으로 반박합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인간이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얼마나 예측 가능하게 비합리적인 사고를 반복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은 경제학과 의사결정학, 심지어 일상적 삶의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이 책은 읽는 내내 깊은 성찰을 유도합니다.대니얼 카너먼  심리학자가 바꾼 경제학의 판도의 저자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은 심리학자이지만,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인물입니다. 이것만으로도 그의 행동경제학의 학문적 기.. 2025. 4. 11.
정리하는 뇌 - 대니얼 J.레비틴 (집중력 향상, 생각 정리법, 정리정돈) 요즘 사람들은 수많은 선택, 알림, 해야 할 일들 속에서 사람들은 점점 집중력을 잃고, 사고의 명확성도 떨어지고 있습니다. 대니얼 J. 레비틴의 는 이런 혼란 속에서 뇌가 어떻게 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하며, 효율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돕는지를 과학적으로 풀어낸 책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책의 내용을 집중력 향상, 생각 정리법, 정리정돈을 통해 뇌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1. 집중력 향상 - 뇌의 에너지 절약 원리 의 핵심 중 하나는 뇌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항상 ‘자동화’를 추구한다는 사실입니다. 뇌는 새로운 정보나 결정을 내릴 때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익숙한 패턴을 따르려 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집중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우선, .. 2025. 4. 10.
내면소통-김주환(저자, 내면소통, 감정조절,마음챙김) 김주환 교수의 책을 리뷰하면서 저자의 다른 책에도 관심이 생겨 바로 이라는 책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내면의 목소리와 대화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 대화를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내면소통은 단순히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과 마음의 흐름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작업입니다. 김주환 교수의 책을 통해서 감정조절, 마음 챙김과 연결된 내면소통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김주환 교수의 내면소통 개념 김주환 교수는 내면소통을 "자기 자신과의 진정한 대화"로 정의합니다. 그의 대표 저서인 『내면소통』에서는 인간의 감정이 일어나는 메커니즘부터 그것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까지 깊이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연세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며 ‘감.. 2025. 4. 10.
반응형